사람을 움직이는 글쓰기 비법

써먹는 독서

글의 감동은 기교에서 나오지 않는다.

쓰고 싶은 내용에 진심을 담아 쓰면 된다.

맞춤법만 맞게 쓸 수 있거든

거침없이 써 내려가자.

 

 글의 중심은 내용이다. '어떻게 쓰느냐', 다시 말해, 어떻게 하면 멋있게, 있어 보이게 쓸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는 것은 부질없는 욕심이다. 그러나 '무엇을 쓰느냐'에 대한 고민은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 

 

 글의 감동은 기교에서 나오지 않는다. 쓰고 싶은 내용에 진심을 담아 쓰면 된다. 맞춤법만 맞게 쓸 수 있거든 거침없이 써 내려가자.

 

 다음은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에, 연설비서관으로 있었던 강원국 선생님께서 관저 식탁에서 바로 받아 적은 '노무현의 글쓰기 지침'이다. 식사하는 2시간 동안 이러한 통찰력 있는 조언을 해줄 수 있다는 것을 보아 가히 글쓰기 내공력이 엄청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연설문 작성에 최적화된 조언이지만 말 한마디 한마디 곱씹어보며 내 것으로 만들어나갈 만한 가치가 있다. 그만큼 글쓰기의 본질을 다루고 있다.

 

 1. 자네 글이 아닌 내 글을 써주게. 나만의 표현 방식이 있네. 그걸 존중해주게.

 2. 자신 없고 힘이 빠지는 말투는 싫네.

 3. '부족한 제가'와 같이 형식적이고 과도한 겸양도 예의가 아니네.

 4. 굳이 다 말하려고 할 필요 없네. 경우에 따라서는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도 연설문이 될 수 있네.

 5. 비유는 너무 많아도 좋지 않네.

 

 6. 쉽고 친근하게 쓰게.

 7. 글의 목적이 무엇인지 잘 생각해보고 쓰게. 설득인지, 설명인지, 반박인지, 감동인지.

 8. 연설문에는 '~등'이란 표현은 쓰지 말게. 연설의 힘을 떨어뜨리네.

 9. 때로는 같은 말을 되풀이하는 것도 방법이네.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라고 한 킹 목사의 연설처럼.

 10. 짧고 간결하게 쓰게. 군더더기야말로 글쓰기의 최대 적이네.

 

 11. 수식어는 최대한 줄이게. 진정성을 해칠 수 있네.

 12. 기왕이면 스케일을 크게 그리게.

 13. 일반론은 싫네. 누구나 하는 얘기 말고 내 얘기를 하고 싶네.

 14. 치켜 세울 일이 있으면 아낌없이 치켜세우게. 돈 드는 거 아니네.

 15. 문장은 자를 수 있으면 최대한 잘라서 단문으로 써주게. 탁탁 치고 가야 힘이 있네.

 

 16. 접속사를 꼭 넣어야 된다고 생각하지 말게. 없어도 사람들은 전체흐름으로 이해하네.

 17. 통계 수치는 글의 신뢰를 높일 수 있네.

 18. 상징적이고 압축적인, 머리에 콕 박히는 말을 찾아보게.

 19. 글은 자연스러운게 좋네. 인위적으로 고치려고 하지 말게.

 20. 중언부언하는 것은 절대 용납 못하네.

 

 21. 반복은 좋지만 중복은 안 되네.

 22. 책임질 수 없는 말은 넣지 말게.

 23. 중요한 것을 앞에 배치하게. 사람들은 뒤를 잘 안 돌아보네. 단락 맨 앞에 명제를 던지고, 뒤에 설명하는 식으로 서술하는 것을 좋아하네.

 24. 사례는 많이 들어도 상관없네.

 25. 한 문장 안에서는 한 가지 사실만을 언급해주게. 헷갈리네.

 

 26. 나열을 하는 것도 방법이네. '북핵 문제, 이라크 파병, 대선자금 수사...'. 나열만으로도 당시 상황의 어려움을 전달할 수 있지 않나?

 27. 같은 메세지는 한 곳으로 응집력 있게 몰아주게. 이곳저곳에 출몰하지 않도록.

 28. 평소에 사용하는 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네. 영토보다는 땅, 식사보다는 밥, 치하보다는 칭찬이 낫지 않을까?

 29. 글은 논리가 기본이네. 멋있는 글을 쓰려다가 논리가 틀어지면 아무것도 안 되네.

 30. 이전에 한 말들과 일관성을 유지해야 하네.

 

 31.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쓰지 말게. 모호한 것은 때로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지금 이 시대가 가는 방향과 맞지 않네.

 32. 단 한 줄로 표현할 수 있는 주제가 생각나지 않으면, 그 글은 써서는 안 되는 글이네.

 

 

 글쓰기를 음식으로 비유한 다음의 조언들은 보다 생생하게 뇌리에 꽂힌다. 매번 글을 쓸 때마다 쉽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1. 요리사는 자신감이 있어야 해. 너무 욕심부려서도 안 되겠지만. 글 쓰는 사람도 마찬가지야.

 2. 맛있는 음식을 만들려면 무엇보다 재료가 좋아야 하지. 싱싱하고 색다르고 풍성할수록 좋지. 글쓰기도 재료가 좋아야 해.

 3. 먹지도 않는 음식이 상만 채우지 않도록, 군더더기는 다 빼도록 하게.

 4. 글의 시작은 에피타이저, 글의 끝은 디저트에 해당하지. 이게 중요해.

 5. 핵심 요리는 앞에 나와야 해. 두괄식으로 써야 한단 말이지. 다른 요리로 이미 배를 불려 놓으면 정작 메인요리는 맛있게 못 먹는 법이거든.

 

 6. 메인요리는 일품요리가 되어야 해. 해장국이면 해장국, 삼계탕이면 삼계탕, 한정식 같이 이것저것 나오는 게 아니라 하나의 메세지에 집중해서 써야 하지.

 7. 양념이 많이 들어가면 느끼하잖아. 과다한 수식이나 현학적 표현은 피하는 게 좋지.

 8. 음식 서빙에도 순서가 있다네. 글도 오락가락, 중구난방으로 쓰면 안 돼. 다 순서가 있지.

 9. 음식 먹으러 갈 떄 식당 분위기 파악이 필수이듯이, 그 글의 대상에 대해 잘 파악해야 해. 사람들이 일식당인 줄 알고 갔는데 짜장면이 나오면 얼마나 황당하겠어.

 10. 요리마다 다른 요리법이 있듯 글마다 다른 전개방식이 있는 법이지.

 

 11. 요리사가 장식이나 기교로 승부하려고 하면 곤란하네. 글도 진심이 담긴 내용으로 승부해야 해.

 12. 간이 맞는지 보는 게 글로 치면 퇴고의 과정이라 할 수 있지.

 13. 어머니가 해주는 집밥이 최고지 않나? 글도 그렇게 편안하고 자연스러워야 해.

대통령의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