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돈공부
경제학이란?
What is Economics?
"큰 조직을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제도"
경제학이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일까?
경제학economics을 간단하게 정의하면 ‘다양한 사람이나 조직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이 시장에서 재화·서비스와 돈을 서로 교환하는 행동경제활동을 어떤 가설을 기초로 모델화해서 간단하면서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학문’이다.
경제학은 경제주체가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행동을 한다고 여긴다.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경제학에서는 인간이 항상 이익과 손해를 생각해서 더 나은 선택을 하고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물론 인간은 항상 경제적인 동기만 갖고 합리적으로 행동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오래 관찰해보면 대부분의 사회활동이 경제적인 측면이 고려된 합리적인 행동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싼 물건을 사고 싶어하는 합리성
그렇다면 합리적인 행동이란 도대체 어떤 행동일까? 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합리적인 행동은 ‘어떤 경제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어진 제약 속에서 가장 이익이 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최적화 행동’을 말한다.
예를 들어 A슈퍼마켓과 B슈퍼마켓이 나란히 붙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A슈퍼마켓에서는 당근 하나를 1,000원에 팔고 B슈퍼마켓에서는 500원에 팔고 있다면 누구나 B슈퍼마켓에서 500원짜리 당근을 살 것이다.
그런데 1,000원짜리 당근을 파는 A슈퍼마켓은 바로 집 앞에 있고 500원짜리 당근을 파는 B슈퍼마켓은 차로 1시간 걸리는 거리에 있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500원짜리 당근을 사려고 1시간 동안 차를 몰고 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평소에 사람들이 깊이 생각하지 않고 물건을 사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시간이나 기름값 등등을 생각한 뒤 그중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이득을 보는 물건을 사는 바람직한 행동을 선택한다.
경제학은 ‘주어진 조건 아래에서 최댓값을 찾아서 분석하는 학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경제활동을 분석할 때 경제주체의 행동에 몇 가지 전제를 둔다.
첫째, 각각의 경제주체는 경제활동의 목적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고 있다. 둘째, 경제주체는 각각의 목적에 대한 중요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제대로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다.
이때 경제주체가 스스로 행동해야만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경제행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학에서는 사람들이 자유의지를 갖고 본인에게 가장 바람직한 경제활동을 한다고 간주한다. 누군가의 강요에 의해 억지로 물건을 사는 일이 없고 억지로 일을 하는 경우도 없다고 본다. 좀더 딱딱하게 표현하면, 경제주체가 ‘주체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경제적 유인’이 행동을 결정한다
경제주체가 주체적인 의사결정을 할 때 중요한 키워드가 있는데, 바로 경제적 유인(인센티브,incentive)이다. 경제적 유인이 있으면 어떤 선택을 할 의욕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직원은 월급이 올라가면 의욕을 갖고 더 열심히 일한다. 만약 기업에서 야근수당을 지불하지 않고 직원에게 야근을 강요하면 이는 일하는 사람의 경제적 유인을 무시한 것이므로 직원들은 제대로 일을 하지 않는다.
또 정부가 법률로 고용을 강요해도 기업 입장에서는 채산성 수지타산이 맞지 않으면 고용할 수 없다. 이것도 기업 쪽에서 보면 고용을 할 경제적 유인이 없기 때문이다.
대체재와 보완재 - 특징과 예시
대체재는 서로 다른 재화인데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을 때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꿩 대신 닭’ 의 관계인 셈입니다. 좀더 쉽게 설명하면, 대체재는 쌀과 빵, 고기와 생선,
tjd3388.tistory.com
그레셤의 법칙 - 악화 vs 양화
요약 : 영국의 재정가 토머스 그레셤이 주장한 ‘나쁜 것이 좋은 것을 이긴다’ 는 법칙 그레셤의 법칙(Gresham’ s law)은 영국의 금융업자 겸 사업가인 토머스 그레셤이 주장한 이론으로,
tjd3388.tistory.com
트리클다운 이론과 효과
"부는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요약 : 대기업의 성장이 곧 전체 경제의 활성화로 이어진다는 경제이론 트리클다운 이론은 양동이가 꽉 차 넘쳐흐른 물이 바닥을 고루 적시는 것
tjd3388.tistory.com
핵심경제용어
•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 | 물가, 인플레이션, 실업, 국민총생산, 경제성장 등 한 국가의 경제 전체에 관한 현상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 경제적 유인(인센티브) incentive | 어떤 경제주체가 의사결정을 할 때 그 선택을 할 의욕을 높이는 것
• 경제학 economics | 시장에서 재화·서비스와 돈을 서로 교환하는 행동을, 어떤 가설을 기초로 모델화해서 간단하면서도 이론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학문
•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 | 가계와 기업 같은 미시경제주체가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고 시장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
• 비용 cost | 어떤 경제행위를 할 때 발생하는 손실
• 이윤 profit | 돈을 버는 것. 미시경제학에서는 기업이 이윤을 극대화하도록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 효용 utility | 만족감. 미시경제학에서는 가계가 효용을 극대화하도록 행동한다고 가정한다.
• 희소성 scarcity | 사회적인 필요성의 척도. 수요와 공급의 상대적인 크기로 희소성이 결정된다.